홍범황극내편 합편 천문서5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범 작성일19-05-03 21:40 조회3,413회 댓글0건본문
■ 察剛氣以處熒惑. 曰南方火, 主夏, 日丙丁. 禮失, 罰出熒惑, 熒惑失行是也. 出則有兵, 入則兵散. 以其捨命國.
강기剛氣를 살펴서 형혹熒惑에 대처한다. 화성은 남방의 화火이고, 여름을 주관하며, 날로는 병丙・정丁이다. 임금이 예법을 어기면 벌로 화성을 출현시키는데, 화성이 행도를 잃는 것이 이것이다. 화성이 나타나면 전쟁이 있고 들어가면 전쟁이 사라지니, 그것으로 해당하는 나라를 폐한다,
■ 熒惑爲勃亂, 殘賊, 疾, 喪, 饑, 兵. 反道二舍以上, 居之, 三月有殃, 五月受兵, 七月半亡地, 九月太半亡地. 因與俱出入, 國絶祀. 居之, 殃還至, 雖大當小 ; 久而至, 當小, 反大. 其南爲丈夫, 北爲女子喪. 若角動繞環之, 及乍前乍後, 左右, 殃益大. 與他星鬪, 光相逮, 爲害 ; 不相逮, 不害. 五星皆從而聚於一舍, 其下國可以禮致天下.
화성은 패란悖亂, 잔적殘賊, 질병, 사상死喪, 기아, 전쟁이 된다. 화성이 2사二舍 이상 길을 돌이켜 머무르면 세 달이면 재앙이 있고, 다섯 달이면 병화兵禍를 입고, 일곱 달이면 절반의 땅을 잃으며, 아홉 달이면 태반太半 이상의 땅을 잃는다. 이렇게 더불어서 출입을 하면 그 나라는 제사가 끊어진다. 그것이 머물러서 재앙이 이르는 것은 빨리 오면 큰 재앙이 작아지고 오래 지나서 오면 작아야 할 것도 반대로 커지게 된다. 화성의 남쪽은 장부丈夫가 되고, 북쪽은 여자가 되어 사상死喪의 재앙을 당한다. 빛줄기가 흔들리면서 화성을 둘러싸거나 전후좌우로 바뀌면 재앙이 더욱 커진다. 다른 별과 접근해 빛줄기가 서로 닿으면 해침을 당하고 닿지 않으면 해침을 당하지 않는다. 오행성이 모두 한 곳의 사舍를 따라 모이면 그 아래에 해당하는 나라는 천하에 예법을 펼 수 있다.
悖亂은 모반을 일으킴이고, 殘賊은 잔인하게 해침이다. 太半은 3분의 2 이상이다.
■ 法, 出東行十六舍而止 ; 逆行二舍 ; 六旬, 復東行, 自所止數十舍, 十月而入西方, 伏行五月, 出東方. 其出西方曰反明, 主命者惡之. 東行急, 一日行一度半. 其行東西南北疾也. 兵各聚其下 ; 用戰, 順之勝, 逆之敗. 熒惑從太白, 軍憂 ; 離之, 軍卻. 出太白陰, 有分軍 ; 行其陽, 有偏將戰. 當其行, 太白逮之, 破軍殺將. 其入守犯太微, 軒轅, 營室, 主命惡之. 心爲明堂, 熒惑廟也. 謹候此.
화성이 운행하는 법도는 출현하여 동쪽으로 16사를 가서 멈추고, 거꾸로 2사舍를 역행하여 60일이 지나면 다시 동쪽으로 간다. 멈추었던 곳으로부터 수십 사舍를 가서 열 달 만에 서쪽에서 지고, 다섯 달을 잠복 운행하다가 동쪽에서 나온다. 화성이 서쪽에 출현하면 반명反明이라고 하는데, 군주 된 자가 꺼리는 것이다. 동쪽으로 갈 때는 빨라서 하루에 1.5도度를 간다. 화성이 동서남북으로 급히 움직일 때 군대가 각각 그 아래에 모여서 싸우면, 그 방향을 따르는 쪽이 이기고 거스르는 쪽은 패한다. 화성이 금성을 따르면 군대에 근심이 있고, 헤어지면 군대가 퇴각한다. 금성의 북쪽에 뜨면 군대를 나누어 싸워야 하고, 남쪽에 뜨면 편제된 군대로 싸운다. 화성이 운행하는데 금성이 따라가서 붙들면 군대가 깨어지고 장수가 피살된다. 화성이 태미원, 헌원좌, 실수에 들어가거나 점거하고 침범하는 것은 군주 된 자가 꺼리는 것이다. 심수가 명당明堂으로 화성의 묘당이니, 이것을 엄격하고 자세하게 살펴야 한다.
지구에서 보는 화성의 출현은 화성의 상대적 이심률과 자전축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화성의 자전주기는 1.026일이니, 하루에 1.5도는 매우 빠른 것이다.
■ 歷斗之會, 以走塡星之位. 曰中央土, 主季夏, 日戊己, 黃帝, 主德, 女主象也. 歲塡一宿, 其所居國吉. 未當居而居, 若已去而復還, 還居之, 其國得土 ; 不, 乃得女. 若當居而不居, 旣已居之,又西東去, 其國失土 ; 不, 乃失女 ; 不可擧事用兵. 其居久, 其國福厚, 易, 福薄.
두수斗宿를 만나고 지나갈 때를 전성塡星이 가는 위치로 한다. 토성은 중앙토中央土라고 하는데, 계하季夏를 주관하고 날로는 무戊・기己이며, 황제黃帝이고, 덕을 주관하며, 왕후의 상이다. 토성이 일수一宿를 운행하는 것이 한 해이고, 그것이 머무는 나라는 길하다. 머무를 때가 못 되었는데 머물거나, 이미 갔다가 되돌아오거나, 되돌아와서 머물거나 하면 그 나라는 땅을 얻거나 아니면 왕후를 얻으며, 큰 사업이나 군대를 일으키면 안 된다. 토성이 오래 머물면 그 나라에 복이 많고 거쳐 가면 복이 적다.
토성의 공전속도는 약 9.7km/s로 지구 시간으로 공전주기가 대략 29.6년이기 때문에 대략 한 해에 28수의 한 자리에 머무는 것과 같다.
■ 其一名曰地侯, 主歲. 歲行十二度百十二分度之五, 日行二十八分度之一, 二十八歲周天. 其所居, 五星皆從而聚於一舍, 其下之國, 可以重致天下. 禮, 德, 義, 殺, 刑盡失, 而塡星乃爲之動搖.
토성은 일명 지후성地侯星이라 하며, 한 해의 수확을 주관한다. 매년 13과 112분의 5도度를, 매일 28분의 1도를 운행해 28년 만에 하늘을 일주한다. 그것이 머무는 곳에 오행성이 모두 같은 사舍에 따라 모이면 그 아래의 나라가 천하에 그 위덕威德을 펼 수 있다. 예법, 덕행, 정의, 정벌, 형벌을 다 잃으면 토성이 곧 동요한 것이다.
■ 贏, 爲王不寧 ; 其縮, 有軍不復. 塡星, 其色黃, 九芒, 音曰黃鐘宮. 其失次上二三宿曰贏, 有主命不成 ; 不, 乃大水. 失次下二三宿曰縮, 有后戚, 其歲不復. 不, 乃天裂若地動.
토성의 운행이 영贏이면 왕이 안녕하지 못하며, 축縮이면 군대가 되돌아오지 못한다. 토성은 색이 황색이고 빛줄기가 아홉이며, 음률로는 황종률黃鍾律과 궁성宮聲이라 한다. 토성이 성차를 어기고 2~3수宿를 앞서가면 영이라고 하며, 이때는 군주의 명령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아니면 큰 홍수가 있다. 성차를 어기고 2~3수를 뒤쳐져서 가면 축이라고 하며, 이때는 왕후에게 근심이 있고 그해의 음양이 조화롭지 못하고 아니면 하늘이 찢어지고 땅이 진동한다.
■ 斗爲文太室, 塡星廟, 天子之星也. 木星與土合, 爲內亂, 饑, 主勿用, 戰敗 ; 水, 則變謀而更事 ; 火爲旱 ; 金爲白衣會, 若木金在南, 曰牝牡, 年穀熟. 金在北, 歲偏無. 火與水合, 爲焠 ; 與金合, 爲鑠, 爲喪, 皆不可擧事 ; 用兵, 大敗. 土爲憂, 主孽卿 ; 大饑, 戰敗, 爲北軍, 軍困, 擧事大敗. 土與水合, 穰而擁閼. 有覆軍, 其國不可擧事, 出, 亡地 ; 入, 得地. 金, 爲疾, 爲內兵, 亡地.
두수斗宿는 문덕 있는 태실太室로 토성의 조묘祖廟이니, 천자의 별이다. 목성이 토성과 만나면 내란과 기근이 있으니, 군주는 바깥으로 나가지 않아야 하며 전쟁을 하면 패한다. 수성이 토성을 만나면 도모하는 것을 바꾸고 사업을 고쳐야 한다. 화성이 토성과 만나면 한발이 든다. 금성이 토성과 만나면 흰 무리를 이루게 되고, 목성과 마찬가지로 금성이 남쪽에 있으면 음양이 짝을 이룬 것이라고 하며, 그해의 곡물이 잘 익는다. 금성이 북쪽에 있으면 수확이 매우 나쁘다. 화성과 수성이 합쳐서 토성을 만나면 담금질이 되고, 화성이 금성과 함께 토성을 만나면 녹이게 되어 재앙이 되니, 이때는 모두 일을 일으키면 안 되고 전쟁을 하면 크게 패한다. 토성은 우환이 되는 것은 왕에게 나쁜 신하이고, 크게 기근이 들고 전쟁에서 패하는 것은 북쪽 군대가 되니, 군대가 포위되고, 일을 일으키면 크게 실패한다. 토성이 수성과 만나면 수확은 풍성하지만 유통이 막히고, 군대가 뒤집혀 섬멸당하고, 그 나라는 사업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 토성이 출현하면 땅을 잃고, 사라지면 땅을 얻는다. 금성과 만나면 질병과 내전이 있고 땅을 잃는다.
白衣會 : 묘성(昴星)의 성단으로 그 기운이 구름 같으면서도 구름이 아니고, 연기 같으면서도 연기가 아닌 것이 흰 기운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를 점성가에서 좋지 않은 징조로 해석했다.
■ 三星若合, 其宿地國, 外內有兵與喪, 改立公王. 四星合, 兵喪並起, 君子憂, 小人流. 五星合, 是謂易行, 有德, 受慶, 改立大人, 奄有四方, 子孫蕃昌 ; 無德, 受殃若亡. 五星皆大, 其事亦大 ; 皆小, 事亦小.
세 행성이 만나서 머무르는 곳에 해당하는 나라는 안팎으로 전쟁과 재난이 있고 임금을 바꾸어 세운다. 네 행성이 만나면 전쟁과 재난이 함께 일어나니, 군자는 근심하고 백성은 유랑한다. 다섯 행성이 만나면 이는 길을 바꾼 것으로, 덕이 있는 이는 복을 받아 임금을 바꾸고 사방의 땅을 통합하며 자손이 번창하게 된다. 덕이 없는 이는 재앙을 당하거나 멸망한다. 다섯 행성이 모두 크면 사업 또한 크고, 모두 작으면 일 또한 작다.
■ 蚤出者爲贏, 贏者爲客. 晩出者爲縮, 縮者爲主人. 必有天應見於杓星. 同舍爲合, 相凌爲鬪, 七寸以內必之矣.
행성이 일찍 나오면 영贏이 되니, 영인 것은 객客이 된다. 늦게 나오면 축縮이 되니, 축인 것은 주인이 된다. 반드시 하늘의 호응이 있어서 두표성斗杓星에 나타난다. 같은 사舍에 함께 있으면 합하게 되어 서로 능멸하여 싸우게 되니, 7촌寸 안에 있으면 반드시 그러한 일이 있다.
■ 五星色白圜, 爲喪旱 ; 赤圜, 則中不平, 爲兵 ; 靑圜, 爲憂水 ; 黑圜, 爲疾, 多死 ; 黃圜, 則吉. 赤角犯我城, 黃角地之爭, 白角哭泣之聲, 靑角有兵憂, 黑角則水. 意, 行窮兵之所終. 五星同色, 天下偃兵, 百姓寧昌. 春風秋雨, 冬寒夏暑, 動搖常以此.
오행성의 색이 흰 고리를 두르면 상사喪事와 한재旱災가 있으며, 붉은 고리를 두르면 안이 평안하지 않고 전쟁이 있게 되며, 푸른 고리를 두르면 우환과 수재가 있으며, 검은 고리를 두르면 질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게 되며, 황색 고리를 두르면 길하다. 적색 빛줄기는 자기 나라를 침범하는 자가 있고, 황색 빛줄기는 영토의 분쟁이 있고, 백색 빛줄기는 곡읍哭泣하는 소리가 있고, 청색 빛줄기는 전쟁의 근심이 있고, 흑색 빛줄기는 수재가 있다. 아아! 행성은 궁극으로는 전쟁으로 마치는 것인가? 오행성이 같은 색이면 천하에 전쟁이 그치고 백성들이 안녕하고 번창한다. 봄에는 바람이 불고 가을에는 비가 오며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더우니, 동요하는 것은 항상 이러하다.
■ 塡星出百二十日而逆西行,西行百二十日反東行. 見三百三十日而入, 入三十日復出東方. 太歲在甲寅, 鎭星在東壁, 故在營室.
토성은 나타나서 120일이 되면 거슬러서 서행西行하며, 서행西行하여 120일이 되면 다시 동행東行한다. 330일을 나타나고서 사라지고, 사라진 지 30일 만에 다시 동쪽에 나온다. 태세太歲가 갑인甲寅에 있으면 토성은 동쪽 벽수壁宿에 있었기 때문에 실수室宿에서 나오는 것이다.
■ 察日行以處位太白. 曰西方, 秋, 司兵, (月行及天矢), 日庚辛, 主殺. 殺失者, 罰出太白. 太白失行, 以其捨命國. 其出行十八舍, 二百四十日而入. 入東方, 伏行十一舍百三十日 ; 其入西方, 伏行三舍十六日而出, 當出不出, 當入不入, 是謂失舍, 不有破軍, 必有國君之篡.
태양의 운행을 살펴서 거처하는 자리가 태백太白이다. 금성은 서방西方이고, 가을이니, 전쟁을 맡고, (달의 행도가 천시성에 이르니), 날로는 경庚・신辛이고, 주살을 주관한다. 주살에 잘못이 있으면 벌하는 것이 금성에 나타난다. 금성이 행도를 잃으면 금성이 버린 곳이 해당하는 나라이다. 금성은 출현하여 18사舍를 240일 동안 간 다음 사라진다. 동쪽으로 사라져서는 11사舍를 130일 동안 잠복 운행한다. 서쪽으로 사라져 3사舍를 16일 동안 잠복 운행한 다음 나타난다. 나타나야 하는데 나타나지 않고 사라져야 하는데 사라지지 않으면 사(舍)를 잃은 것이라고 하며, 군대가 깨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반드시 나라의 임금을 찬탈하는 일이 있다.
■ 其紀上元, 以攝提格之歲, 與營室晨出東方, 至角而入 ; 與營室夕出西方, 至角而入. 與角晨出, 入畢 ; 與角夕出, 入畢. 與畢晨出, 入箕 ; 與畢夕出, 入箕. 與箕晨出, 入柳 ; 與箕夕出, 入柳. 與柳晨出, 入營室 ; 與柳夕出, 入營室.
상원上元의 기년紀年에는 금성은 섭제격攝提格의 해寅年에, 실수室宿와 함께 동쪽에서 나와서 각수角宿에 이르러서 들어가고, 실수와 함께 초저녁에 서쪽에서 나와서 각수에 이르러서 들어가며, 각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나와서 필수畢宿에 이르러서 들어가고, 각수와 함께 초저녁에 나와서 필수에 이르러서 들어가며, 필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나와서 기수箕宿에 이르러서 들어가고, 필수와 함께 초저녁에 나와서 기수에 이르러서 들어가며, 기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나와서 유수柳宿에 이르러서 들어가고, 기수와 함께 초저녁에 나와서 유수에 이르러서 들어가며, 유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나와서 실수에 이르러서 들어가며, 유수와 함께 초저녁에 나와서 실수에 이르러서 들어간다.
■ 凡出入東西各五, 爲八歲, 二百二十日, 復與營室晨出東方. 其大率, 歲一周天, 其始出東方, 行遲, 率日半度, 一百二十日, 必逆行一二舍 ; 上極而反, 東行, 行日一度半, 一百二十日入. 其庳, 近日, 曰明星, 柔 ; 高, 遠日, 曰大囂, 剛. 其始出西方, 行疾, 率日一度半, 百二十日 ; 上極而行遲, 日半度, 百二十日, 旦入, 必逆行一二舍而入. 其庫, 近日, 曰太白, 柔 ; 高, 遠日, 曰大相, 剛. 出以辰, 戌, 入以丑, 未.
무릇 동서에서 출입하기를 각각 다섯 번 함에 8년 220일이 되고, 다시 실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동쪽에 나온다. 금성은 대략 1년에 일주천一周天한다. 처음 동쪽에 나온 금성은 천천히 운행해 매일 대략 0.5도를 가다가 120일이 지나면 반드시 되돌아서 서쪽으로 1~2사舍를 간다. 그리고 위로 올라가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른 다음 되돌아서 동쪽을 향하는데 하루에 1.5도를 운행해 120일이 지나면 들어간다. 그 고도가 낮고 해와 가까운 것은 명성明星이라 하는데, 약하다. 고도가 높고 해와 먼 것은 대효大囂라고 하는데, 강하다. 처음 서쪽에 출현하는 금성은 운행이 빨라 하루에 대략 1.5도를 가며 120일이 지나면 위로 올라가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른 다음 운행이 느려져서 매일 0.5도를 가다가 120일이 지나면 아침에 들어가는데, 반드시 되돌아 서쪽으로 1~2사舍를 가서 들어간다. 그 고도가 낮고 해와 가까운 것은 대백大白이라 하는데 약하다. 고도가 높고 해와 먼 것은 대상大相이라 하는데 강하다. 뜨는 시각은 진시辰時와 술시戌時이고, 지는 시각은 축시丑時와 미시未時이다.
■ 當出不出, 未當入而入, 天下偃兵, 兵在外, 入. 未當出而出, 當入而不入, 天下起兵, 有破國. 其當期出也, 其國昌. 其出東爲東, 入東爲北方 ; 出西爲西, 入西爲南方. 所居久, 其鄕利 ; 疾, 其鄕凶.
금성이 뜰 때인데 뜨지 않고, 질 때가 아닌데 지면 천하에 전쟁이 그치고 밖에 있는 군대가 돌아온다. 뜰 때가 안 되었는데 뜨고, 질 때인데 지지 않으면 천하에 전쟁이 일어나고 깨지는 나라가 있다. 마땅한 때에 뜨면 그 나라가 흥성한다. 그에 해당하는 곳은 동쪽에서 뜨면 동쪽에, 동쪽에서 지면 북쪽에, 서쪽에서 뜨면 서쪽에, 서쪽에서 지면 남쪽이 된다. 머무르는 것이 오래이면 그 지방이 이롭고, 잠깐이면 그 지방이 흉하다.
■ 出西逆行至東, 正西國吉. 出東至西, 正東國吉. 其出不經天 ; 經天, 天下革政. 小以角動, 兵起. 始出大, 後小, 兵弱 ; 出小, 後大, 兵强. 出高, 用兵深吉, 淺凶 ; 庳, 淺吉, 深凶. 日方南, 金居其南 ; 日方北, 金居其北, 曰贏, 侯王不寧, 甲兵進吉退凶. 日方南, 金居其北 ; 日方北, 金居其南, 曰縮, 侯王有憂, 用兵退吉進凶.
서쪽에서 출현하여 역행하여 동쪽에 이르면, 정서방의 나라가 길하고, 동쪽에서 출현하여 서쪽에 이르면, 정동방의 나라가 길하다. 낮 하늘에 출현하지 않아야 하는데, 만약 낮 하늘을 지나가면 천하의 정권이 바뀐다. 형체가 작고 빛줄기가 흔들리면 전쟁이 일어난다. 처음 출현했을 때는 컸는데 나중에 작아졌으면 군대가 약하고, 출현했을 때는 작았다가 나중에 커지면 군대가 강하다. 출현하는 고도가 높을 때는 용병을 깊게 해야 길하고 얕게 하면 흉하며, 고도가 낮을 때는 용병을 얕게 해야 길하고 깊이 하면 흉하다. 해가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남쪽에 있고 해가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북쪽에 있으면 영贏이라고 하는데, 제후와 왕이 안녕하지 못하며 갑병은 진격하는 것이 길하고 후퇴는 흉하다. 해가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북쪽에 있고 해가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남쪽에 있으면 축縮이라고 하는데, 제후와 왕에게 근심이 있으며 용병은 후퇴가 길하고 진격은 흉하다.
■ 用兵象太白 : 太白行疾, 疾行 ; 遲, 遲行. 角, 敢戰. 動搖躁, 躁. 國以靜, 靜. 順角所指, 吉 ; 反之, 皆凶. 出則出兵, 入則入兵. 赤角, 有戰 ; 白角, 有喪 ; 黑圜角, 憂, 有水事 ; 靑圜小角, 憂, 有木事 ; 黃圜和角, 有土事, 有年. 其已出三日而復, 有微入, 入三日乃復盛出, 是謂耎, 其下國有軍敗將北. 其已入三日又復微出, 出三日而復盛入, 其下國有憂 ; 師有糧食兵革, 遺人用之 ; 卒雖眾, 將爲人虜. 其出西失行, 外國敗 ; 其出東失行, 中國敗. 其色大圜黃滜, 可爲好事 ; 其圜大赤, 兵盛不戰.
용병用兵은 금성을 본받는 것이다. 금성의 운행이 빠르면 빨리 행군하고, 금성의 운행이 느리면 천천히 행군한다. 빛줄기를 내뿜으면 용감히 싸우고, 흔들림이 급하면 급하게 공격하고, 둥글고 조용하면 차근차근 싸운다. 빛줄기의 방향을 따르면 길하고, 거스르면 모두 흉하다. 출현하면 출병하고 들어가면 병력을 거둔다. 빛줄기가 붉은 색이면 전쟁이 있고, 흰색이면 상사喪事가 있고, 검고 둥글면 우환이 있고 치수 사업이 있다. 빛줄기가 작고 푸르고 둥글면 우환이 있고 벌목사업이 있다. 빛줄기가 부드럽고 노랗고 둥글면 토목사업이 있고 풍작이 든다. 출현하여 사흘 뒤 다시 가물거리며 졌다가 진 지 사흘 뒤에 다시 갑자기 떠오르면 연耎이라 하는데, 그 아래의 나라는 군대가 패전하고 장수가 패주한다. 지고 나서 사흘 뒤에 다시 가물거리며 출현했다가 출현한 지 사흘 뒤에 다시 갑자기 사라지면 그 아래의 나라에 우환이 있고, 군대는 식량과 무기를 남에게 넘겨주고 병졸은 많지만 남의 포로가 된다. 서쪽에 떠올라서 정상의 운행을 벗어나면 바깥 나라가 실패하고, 동쪽에 떠올라서 정상의 운행을 벗어나면 가운데 나라中國가 실패한다. 크게 둥글며 노란 것이 윤택한 색이면 좋은 사업을 할 수 있고, 둥글고 크며 붉으면 병력이 강성해도 싸우지 않는다.
■ 太白白, 比狼 ; 赤, 比心 ; 黃, 比參左肩 ; 蒼, 比參右肩 ; 黑, 比奎大星. 五星皆從太白而聚乎一舍, 其下之國可以兵從天下. 居實, 有得也 ; 居虛, 無得也. 行勝色, 色勝位, 有位勝無位, 有色勝無色, 行得盡勝之.
금성이 흰색이면 천랑성天狼星과 비슷하고, 적색이면 심수心宿의 대화성大火星과 비슷하며, 황색이면 삼수參宿의 왼쪽에 있는 별과 비슷하고, 청색이면 삼수의 오른쪽에 있는 별과 비슷하며, 흑색이면 규대성奎大星과 비슷하다. 오행성이 모두 태백성을 따라 하나의 사舍에 모이면 그 아래의 나라는 무력으로 천하를 따르게 할 수 있다. 별이 합하여 있으면 득이 되고, 영축이 되면 득이 없다. 행도는 색을 이기고, 색은 자리를 이기고, 자리가 있는 것은 자리가 없는 것을 이기고, 색이 있는 것은 색이 없는 것을 이기고, 행성이 합을 얻은 것은 이 모두를 다 이긴다.
■ 出而留桑楡間, 疾其下國. 上而疾, 未盡其日, 過參天, 疾其對國. 上復下, 下復上, 有反將, 其入月, 將僇. 金木星合, 光, 其下戰不合, 兵雖起而不鬭 ; 合相毀, 野有破軍.
금성이 출현하여 뽕나무나 느릅나무 사이에 머물러 있으면 그 아래에 있는 나라에 질병이 돈다. 올라가는 것이 빨라서 그 날의 해가 다하지 않았는데도 하늘의 3분의 1을 지나가면酉戌之間 그 맞은편에 있는 나라에 질병이 돈다.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고出東入西,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면出西入東 반란을 꾀하는 장수가 있다. 달 뒤로 들어가면 대장이 피살된다. 금성과 목성이 합合이어서 빛이 나면 그 아래에서는 전쟁하는 것이 맞지 않으니, 군대를 동원해도 전투가 되지 않으며, 두 별이 합合이 되어 서로를 가린다면 그 분야에 패배한 군대가 있게 된다.
桑楡 : 서방에 있는 낱개의 별로 해가 지는 때를 말한다.
■ 出西方, 昏而出陰, 陰兵彊 ; 暮食出, 小弱 ; 夜半出, 中弱 ; 雞鳴出, 大弱. 是謂陰陷於陽. 其在東方, 乘明而出陽, 陽兵之彊 ; 雞鳴出, 小弱 ; 夜半出, 中弱, 昏出, 大弱. 是謂陽陷於陰. 太白伏也, 以出兵, 兵有殃, 其出卯南, 南勝北方 ; 出卯北, 北勝南方 ; 正在卯, 東國利. 出酉北, 北勝南方 ; 出酉南, 南勝北方 ; 正在酉, 西國勝.
서방에 출현하여 황혼에서 밤에 출현하면 음병陰兵이 우세한데, 저녁 밥 때에 출현하면 조금 약해지고, 한밤중에 떠오르면 더욱 약해지고, 닭이 울 때에 떠오르면 크게 약해지니, 이것을 음이 양을 빠뜨린 것이라 한다. 동방에 출현하여 밝은 때에 떠올라서 낮에 출현하면 양병陽兵이 우세한데, 닭 울 때에 떠오르면 조금 약해지고, 한밤중에 떠오르면 더욱 약해지고, 황혼에 떠오르면 크게 약해지니, 이것을 양이 음을 빠뜨린 것이라 한다. 금성이 지평선 아래에 숨어 있는데 군대를 출동시키면 군대에 재앙이 있게 된다. 금성이 동남쪽에 나타나면 남방이 북방을 이기고, 동북쪽에 나타나면 북방이 남방을 이기고, 정동쪽에 있으면 동방의 나라가 승리한다. 서북쪽에 나타나면 북방이 남방을 이기고, 서남쪽에 나타나면 남방이 북방을 이기고, 정서쪽에 있으면 서방의 나라가 이긴다.
■ 其與列星相犯, 小戰 ; 五星, 大戰. 其相犯, 太白出其南, 南國敗 ; 出其北. 北國敗. 行疾, 武 ; 不行, 文, 色白五芒, 出蚤爲月蝕, 晩爲天矢及彗星, 將發其國. 出東爲德, 擧事左之迎之, 吉. 出西爲刑, 擧事右之背之, 吉. 反之皆凶. 太白光見景, 戰勝. 晝見而經天, 是謂爭明, 彊國弱, 小國彊, 女主昌.
금성과 늘어선 별恒星이 서로 침범하면 작은 전쟁이 있게 되고, 오행성이 서로 침범하면 큰 전쟁이 있다. 그들이 서로 침범했다가 금성이 다른 별의 남쪽에 출현하면 남쪽의 나라가 패하고, 다른 별의 북쪽에 출현하면 북쪽의 나라가 패한다. 운행이 빠르면 무력이 일어나고, 멈추면 문덕이 빛난다. 색이 흰 다섯 개의 빛줄기를 가지고 일찍 뜨면 월식月蝕이 있고, 늦게 뜨면 요성妖星과 혜성이 있어서 장차 그 나라에 떨어진다. 동방에 나타나면 덕행을 주관하니, 일을 할 때 금성을 왼쪽으로 하거나 맞아서 하면 길하다. 서방에 나타나면 형벌을 주관하니, 일을 할 때 금성을 오른쪽으로 하거나 등지면 길하다. 이와 반대로 되면 모두가 흉하다. 금성의 빛이 그림자를 나타내면 전쟁에 이긴다. 낮에 나타나서 하늘을 지나가면 이것을 쟁명爭明이라 하니, 강국은 약해지고 약국은 강해지며 왕후가 창성하다.
■ 亢爲疏廟, 太白廟也. 太白, 大臣也. 其號上公. 其他名殷星, 太正, 營星. 觀星, 宮星, 明星, 大衰, 大澤, 終星, 大相, 天浩, 序星, 月緯. 大司馬位, 謹候此.
항수亢宿는 천제의 외조外朝로 금성의 조묘祖廟이다. 금성은 대신으로서 상공上公이라 불린다. 금성의 다른 이름으로는 은성殷星, 태정성太正星, 영성營星, 관성觀星, 궁성宮星, 명성明星, 대쇠성大衰星, 대택성大澤星, 종성終星, 대상성大相星, 천호성天浩星, 서성序星, 월위성月緯星 등이 있다. 대사마大司馬의 지위는 금성을 엄격하고 자세하게 살펴야 한다.
본 게시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무단도용 및 타사이트의 임의게재를 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