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황극내편 합편 천문서6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범 작성일19-05-03 22:08 조회3,431회 댓글0건본문
■ 察日辰之會, 以治辰星之位. 曰北方水, 太陰之精, 主冬, 日壬癸. 刑失者, 罰出辰星, 以其宿命國.
해와 수성이 회합하는 것을 살핌으로써 수성辰星의 위치로 다스리는 것이다. 수성은 북방수北方水라고 하는데, 태음의 정령으로 겨울을 주관하고 날로는 임壬・계癸이다. 형벌이 잘못되면 벌하는 것이 수성에 나타나며, 그것이 머무는 곳이 해당하는 나라이다.
■ 是正四時 : 仲春春分, 夕出郊奎婁胃東五舍, 爲齊 ; 仲夏夏至, 夕出郊東井輿鬼柳東七舍, 爲楚 ; 仲秋秋分, 夕出郊角亢氐房東四舍, 爲漢 ; 仲冬冬至, 晨出郊東方, 與尾箕斗牽牛俱西, 爲中國. 其出入常以辰戌丑未.
수성으로 네 절기를 정한다. 2월仲春 춘분에는 저녁에 규奎・루婁・위胃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다섯 사舍를 운행하는데, 이는 제齊나라 분야이다. 5월仲夏 하지에는 저녁에 정井・귀鬼・유柳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일곱 사舍를 운행하는데, 이는 초楚나라 분야이다. 8월仲秋 추분에는 저녁에 각角・항亢・저氐・방房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네 사舍를 운행하는데, 이는 한漢나라의 분야이다. 11월仲冬 동지에는 아침에 교외 동방에 출현해 미尾・기箕・두斗・우牛와 함께 서쪽에 있는데, 이는 중원의 나라中國에 해당한다. 수성이 뜨고 지는 것은 항상 진시, 술시, 축시, 미시이다.
■ 其蚤, 爲月蝕 ; 晩, 爲彗星及天夭. 其時宜效不效爲失, 追兵在外不戰. 一時不出, 其時不和 ; 四時不出, 天下大饑. 其當效而出也, 色白, 爲旱 ; 黃, 爲五穀熟 ; 赤, 爲兵 ; 黑, 爲水. 出東方, 大而白, 有兵於外, 解. 常在東方, 其赤, 中國勝 ; 其西而赤, 外國利. 無兵於外而赤, 兵起. 其與太白俱出東方, 皆赤而角, 外國大敗, 中國勝 ; 其與太白俱出西方, 皆赤而角, 外國利.
수성이 일찍 뜨면 월식이 생기고, 늦게 뜨면 혜성과 요성이 생긴다. 철에 맞게 나타나야 하는데 맞지 않게 나타나는 것은 행도行度를 잃은 것이니, 추격하는 군대가 밖에 있으면 싸워서는 안 된다. 어느 한 철에 나타나지 않으면 그 철에는 기후가 조화롭지 못하고, 4계절에 다 출현하지 않으면 천하에 큰 기근이 있다. 수성은 때에 맞게 출현해야 하니, 흰색이면 한발旱魃이 있고, 황색이면 오곡이 잘 성숙하고, 적색이면 전쟁이 있고, 흑색이면 수재가 있다. 동쪽에 출현하여 크고 흰색이면 밖에 나가 있는 군대는 철군해야 한다. 늘 동쪽에 있으면서 적색이면 중원의 나라가 이기고, 서쪽에 있으면서 적색이면 바깥 나라가 이롭다. 군대가 밖에 있지 않은데 적색이면 전쟁이 일어난다. 수성이 금성과 함께 동쪽에 출현하여 모두가 적색이고 빛줄기가 있으면 바깥 나라가 크게 패하고 중원의 나라가 이기며, 수성이 금성과 함께 서쪽에 출현하여 모두 적색이고 빛줄기가 있으면 바깥 나라가 이긴다.
■ 五星分天之中, 積於東方, 中國利 ; 積於西方, 外國用兵者利. 五星皆從辰星而聚於一舍, 其所舍之國可以法致天下.
오행성이 하늘의 절반을 차지하면서 동쪽에 모여 있으면 중원의 나라가 이기고, 서쪽에 모여 있으면 바깥 나라가 용병하는 것이 이롭다. 오행성이 모두 수성을 따라 한 사舍에 모이면 그 사舍에 해당하는 나라가 천하를 본받도록 할 수 있다.
■ 辰星不出, 太白爲客 ; 其出, 太白爲主. 出而與太白不相從, 野雖有軍, 不戰. 出東方, 太白出西方 ; 若出西方, 太白出東方, 爲格, 野雖有兵不戰. 失其時而出, 爲當寒反溫, 當溫反寒. 當出不出, 是謂擊卒, 兵大起. 其入太白中而上出, 破軍殺將, 客軍勝 ; 下出, 客亡地. 辰星來抵太白, 太白不去, 將死. 正旗上出, 破軍殺將, 客勝 ; 下出, 客亡地. 視旗所指, 以命破軍.
수성이 출현하지 않으면 금성이 객성客星이 되고, 수성이 출현하면 금성이 주성主星이 된다. 수성이 출현하여도 금성을 따라가지 않으면 그 분야에서는 비록 군대가 있어도 싸워서는 안 된다. 수성이 동쪽에서 출현하고 금성이 서쪽에 출현하거나, 또는 수성이 서쪽에 출현하고 금성이 동쪽에 출현하는 것은 서로 저지하게 되어 그 분야는 비록 병력이 있어도 싸워서는 안 된다. 수성이 때를 잃고 출현하면 추워야 할 때에 도리어 따뜻하고, 따뜻해야 할 때에 도리어 춥다. 출현해야 할 때에 출현하지 않는 것을 격졸擊卒이라고 하며, 전쟁이 크게 일어난다. 수성이 금성 속으로 들어갔다가 위로 나오면 군대가 깨어지고 장군이 피살되어 객군客軍이 이기며, 아래로 나오면 객군이 땅을 잃는다. 수성이 금성에 부딪혀 다가가는데 금성이 비켜나지 않으면 장수가 죽는다. 정기正旗의 위에서 출현하면 군대가 깨어지고 장수가 죽어 객군이 이기고, 아래에서 출현하면 객군이 땅을 잃으니, 깃발이 가리키는 바를 보고 파군破軍을 아는 것이다.
■ 其繞環太白, 若與鬪, 大戰, 客勝. 兎過太白, 間可搣劍, 小戰, 客勝. 兎居太白前, 軍罷 ; 出太白左, 小戰 ; 摩太白, 有數萬人戰, 主人吏死 : 出太白右, 去三尺, 軍急約戰. 靑角, 兵憂 ; 黑角, 水. 赤, 行窮兵之所終.
수성이 금성의 둘레를 돌아서 서로 다투듯이 하면 큰 전쟁이 일어나 객군이 이긴다. 수성이 금성을 지나갈 때 그 사이가 칼 한 자루가 들어갈 정도이면 작은 전쟁이 일어나 객군이 이긴다. 수성이 금성의 앞에 머물러 있으면 군대를 멈추고, 금성의 왼쪽으로 출현하면 작은 싸움이 있고, 금성을 가까이서 스쳐 가면 수만 명의 군대가 전쟁을 하게 되고 주인의 장교가 죽으며, 금성의 오른쪽으로 출현하여 3척의 거리를 두면 군대가 급히 선전포고를 한다. 푸른 빛줄기를 내면 전쟁의 근심이 있고, 검은 빛줄기를 내면 수재가 있고, 붉은 빛줄기를 내면 행도가 다하여 전쟁이 마치는 것이다.
■ 兎七命, 曰小正, 辰星, 天欃, 安周星, 細爽, 能星, 鉤星. 其色黃而小, 出而易處, 天下之文變而不善矣. 兎五色. 靑圜, 憂 ; 白圜, 喪 ; 赤圜, 中不平 ; 黑圜, 吉. 赤角, 犯我城 ; 黃角, 地之爭 ; 白角, 號泣之聲.
수성에는 일곱 개의 이름이 있으니, 소정小正・진성辰星・천참天欃・ 안주성安周星・세상細爽・능성能星・구성鉤星이라 한다. 그 색이 황색으로 작은 것이 출현하여 거처를 옮기면 천하의 문덕이 변하여 좋지 않게 된다. 수성에는 다섯 가지 색이 있으니, 청환靑圜은 우환이 있고, 백환白圜은 상사喪事가 있고, 적환赤圜은 안이 평화롭지 못하고, 흑환黑圜은 길하다. 붉은 빛줄기를 내면 우리나라를 침범하는 자가 있고, 노란 빛줄기를 내면 영토를 다투게 되고, 흰 빛줄기를 내면 울부짖는 소리가 있다.
■ 其出東方, 行四舍四十八日, 其數二十日, 而反入於東方 ; 其出西方, 行四舍四十八日, 其數二十日, 而反入於西方. 其一候之營室角畢箕柳. 出房心間, 地動.
수성은 동쪽에서 출현하여 네 사舍를 48일 동안 운행하다가 대략 20일을 간 뒤 되돌아가서 동쪽에서 지며, 서쪽에 떠서 네 사舍를 48일 동안 운행하다가 대략 20일을 간 뒤 되돌아가서 서쪽에서 진다. 수성이 관찰되는 곳은 실室・각角・필畢・기箕・유柳의 분야이다. 방수房宿와 심수心宿 사이에 출현하면 지진이 있다.
■ 辰星之色 : 春, 靑黃 ; 夏, 赤白 ; 秋, 靑白, 而歲熟 ; 冬, 黃而不明. 即變其色. 其時不昌. 春不見, 大風 ; 秋則不實. 夏不見, 有六十日之旱, 月蝕. 秋不見, 有兵 ; 春則不生. 冬不見, 陰雨六十日, 有流邑 ; 夏則不長. 七星爲員官, 辰星廟, 蠻夷星也.
수성의 색이 봄에는 청황색이고 여름에는 홍백색이며, 가을에 청백색이면 수확이 좋다. 겨울에는 황색인데 그리 밝지 못하다. 만약 그 색이 바뀌면 그 계절은 좋지 않다. 봄에 수성이 안 뜨면 큰 바람이 있고, 그해 가을에는 곡식이 익지 않는다. 여름에 안 뜨면 60일 동안 한해가 있고 월식이 있다. 가을에 안 뜨면 전란이 있고 다음 해 봄에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 겨울에 안 뜨면 60일 동안 장마가 져서 홍수로 유실되는 고을이 있고 다음 해 여름에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
■ 角亢氐, 兗州. 房心, 豫州. 尾箕, 幽州. 斗, 江湖. 牽牛婺女, 揚州. 虛危, 靑州. 營室至東壁, 并州. 奎婁胃, 徐州. 昴畢, 冀州. 觜觿參, 益州. 東井輿鬼雍州. 柳七星張, 三河. 翼軫, 荊州.
각角・항亢・저氐의 분야는 연주兗州이다. 방房・심心의 분야는 예주豫州이다. 미尾・기箕의 분야는 유주幽州이다. 두斗의 분야는 장강(長江) 하류의 태호太湖 유역이다. 우牛・여女의 분야는 양주揚州이다. 허虛・위危의 분야는 청주靑州이다. 실室에서 벽壁까지의 분야는 병주幷州이다. 규奎・루婁・위胃의 분야는 서주徐州이다. 묘昴・필畢의 분야는 기주冀州이다. 자觜・삼參의 분야는 익주益州이다. 정井・귀鬼의 분야는 옹주雍州이다. 유柳・성星・장張의 분야는 삼하三河지역이다. 익翼・진軫의 분야는 형주荊州이다.
■ 兩軍相當, 日暈. 暈等, 力鈞 ; 厚長大, 有勝 ; 薄短小, 無勝. 重抱, 大破 ; 無抱, 爲和 ; 背, 不和, 爲分離相去. 直爲自立, 立侯王 ; (指暈), (若曰), 殺將. 負 且戴, 有喜. 圍在中, 中勝 ; 在外, 外勝, 靑外赤中, 以和相去 ; 赤外靑中, 以惡相去.
양군이 서로 당면함에 햇무리가 나타나면, 햇무리의 등급으로 힘을 저울질한다. 햇무리가 두텁고 길고 크면 이기고, 얇고 짧고 작으면 승산이 없다. 햇무리가 겹으로 둘러싸면 크게 쳐부수고, 둘러싸지 않으면 화해하게 되고, 등지면 화해하지 않고 분리되어 서로 거리를 둔다. 햇무리가 직선이면 스스로 독립하여 군주를 세우니. 햇무리가 가리키는 곳은 장수가 죽는 것이라 말하는 것과 같다. 햇무리를 업거나 이고 있으면 기쁜 일이 있다. 둘러싼 구름이 안에 있으면 안에 있는 군대가 이기고, 밖에 있으면 바깥의 군대가 이긴다. 바깥이 푸르고 안이 붉으면 두 군대가 화해하고 헤어지는데, 바깥이 붉고 안이 푸르면 두 군대가 미워하면서 헤어진다.
■ 氣暈, 先至而後去, 居軍勝. 先至先去, 前利後病 ; 後至後去, 前病後利 ; 後至先去, 前後皆病, 居軍不勝. 見而去, 其發疾, 雖勝無功. 見半日以上, 功大. 白虹屈短, 上下兌, 有者, 下大流血. 日暈, 制勝, 近期三十日, 遠期六十日. 其食, 食所不利 ; 復生, 生所利 ; 而食益盡, 爲主位. 以其直及日所宿, 加以日時, 用命其國也.
햇무리의 고리나 띠가 앞에서 이르러 뒤로 사라지면 주둔군이 이기고, 앞에서 이르러 앞에서 사라지면 전군前軍은 이로우나 후군後軍은 좋지 않으며, 뒤에서 이르러 뒤에서 사라지면 전군前軍은 좋지 않고 후군後軍은 이롭고, 뒤에서 이르러 앞에서 사라지면 전군前軍과 후군後軍이 모두 불리해 주둔군이 이기지 못한다. 나타났다가 곧 사라져서 그 발생이 짧으면 비록 이기더라도 전공戰功이 없고, 반나절 이상 나타나면 전공이 크다. 하얀 무지개가 꼬리가 짧으면, 위아래의 뾰족한 곳의 아래에 큰 유혈流血이 있다. 햇무리가 승패를 가르는 것은 짧게는 30일이고 길게는 60일이다. 일식으로 해가 먹히면 먹히는 쪽이 불길하고, 해가 다시 나오면 나오는 쪽이 이로우니, 일식은 더해지는 곳과 다하는 곳이 해당하는 군주의 자리가 된다. 일식이 이르는 날에 해당하는 성수星宿의 분야에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더하여 그에 해당하는 나라를 정하여 쓴다.
■ 月行中道, 安寧和平. 陰間, 多水, 陰事. 外北三尺, 陰星. 北三尺, 太陰, 大水, 兵. 陽間, 驕恣. 陽星, 多暴獄. 太陽, 大旱喪也. 角, 天門, 十月爲四月, 十一月爲五月, 十二月爲六月, 水發, 近三尺, 遠五尺. 犯四輔, 輔臣誅. 行南北河, 以陰陽言, 旱水兵喪. 月蝕歲星, 其宿地, 饑若亡. 熒惑也亂, 塡星也, 下犯上, 太白也, 彊國以戰敗, 辰星也, 女亂. 食大角, 主命者惡之 ; 心, 則爲內賊亂也 ; 列星, 其宿地憂.
달이 방성房星의 중간中閒으로 운행하면 안녕하고 화평하다. 방성房星 북北의 음간陰閒으로 운행하면 물이 많고 음사陰事가 일어난다. 방수房宿의 외곽 북쪽으로 3척 되는 곳이 음성陰星이다. 북쪽 3척의 태음太陰이 큰 홍수와 전쟁을 주관하는 것이다. 남쪽의 양간陽閒으로 운행하면 군주가 교만하고 방종해지니, 양성陽星은 난폭한 옥獄의 일이 많다. 태양太陽은 큰 한발과 상사喪死를 주관한다. 각수角宿의 천문天門을 지나는 때가 10월이면 다음 해 4월에, 11월이면 다음 해 5월에, 12월이면 다음 해 6월에 홍수가 발생하는데 얕게는 3척이고, 깊게는 5척이다. 달이 방수의 네별을 침범하면 보좌하는 신하가 주살된다. 동정東井의 남하성南河星과 북하성北河星쪽 지나는 것도 음양으로 말하면 정수井宿의 동남 남하성으로 지나가면 한발과 병화兵禍가 있고, 정수井宿의 동북 북하성北河星으로 지나가면 홍수와 상사喪死의 재앙이 있다. 달이 목성을 가리면 그 분야에는 기근으로 죽게 되며, 화성을 가리면 변란이 있고, 토성을 가리면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범하고, 금성을 가리면 강국이 전쟁에 패하고, 수성을 가리면 후비后妃가 어지럽힌다. 달이 대각성大角星을 가리는 것은 명을 주관하는 자가 꺼리는 것이고, 심수心宿를 가리면 안에서 적신賊臣이 난동하게 되니, 달이 항성列星을 가리는 것은 그 분야에 해당하는 곳에 우환이 있다.
■ 月食始日, 五月者六, 六月者五, 五月復六, 六月者一, 而五月者五. 凡百一十三月而復始. 故月蝕, 常也 ; 日蝕, 爲不臧也. 甲乙, 四海之外, 日月不佔. 丙丁, 江淮海岱也. 戊己, 中州河濟也. 庚辛, 華山以西. 壬癸, 恆山以北. 日蝕, 國君 ; 月蝕, 將相當之.
월식은 시작된 날로부터 5개월마다 여섯 번 일어나고, 6개월마다 다섯 번 일어나고, 다시 5개월마다 여섯 번 일어나고, 또 6개월 만에 한 번 일어나며, 다시 5개월마다 다섯 번 일어난다. 무릇 113개월 만에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월식은 일상적인 것이지만 일식은 좋지 않은 일이다. 갑甲・을乙의 날은 사해四海 밖이기 때문에 일식과 월식으로 점을 치지 않는다. 병丙・정丁의 날에는 장강長江과 회하淮河, 황해黃海에서 태산岱에 해당한다. 무戊・기己의 날에는 중주中州・하수河水・제수濟水에 해당한다. 경庚・신辛의 날에는 화산華山 서쪽에 해당한다. 임壬・계癸의 날에는 항산恒山 북쪽에 해당한다. 일식은 군주에 해당하고, 월식은 장수와 재상에 해당한다.
■ 國皇星, 大而赤, 狀類南極. 所出, 其下起兵, 兵彊 ; 其衝不利. 昭明星, 大而白, 無角, 乍上乍下. 所出國, 起兵, 多變. 五殘星, 出正東, 東方之野. 其星狀類辰星, 去地可六丈. 大賊星, 出正南, 南方之野. 星去地可六丈, 大而赤, 數動, 有光. 司危星, 出正西, 西方之野. 星去地可六丈, 大而白, 類太白. 獄漢星, 出正北, 北方之野. 星去地可六丈, 大而赤, 數動, 察之中靑. 此四野星所出, 出非其方, 其下有兵, 衝不利. 四塡星, 所出四隅, 去地可四丈. 地維咸光, 亦出四隅, 去地可三丈, 若月始出. 所見, 下有亂 ; 亂者亡, 有德者昌. 燭星, 狀如太白, 其出也不行. 見則滅. 所燭者, 城邑亂. 如星非星, 如雲非雲, 命曰歸邪. 歸邪出, 必有歸國者.
국황성國皇星은 크고 붉으며 모양은 남극성南極星과 비슷하다. 이 별이 출현하면 그 아래에서 전쟁을 일으키는데, 병력이 강성하여 그와 마주하는 나라가 이롭지 않다. 소명성昭明星은 크고 희며 빛줄기가 없고 홀연히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이 별이 출현하면 그 나라에는 전쟁이 일어나고 변고가 많다. 오잔성五殘星은 정동正東에서 출현하니, 동방의 분야이고, 별의 모양은 수성과 비슷하고, 지면에서 6장六丈정도 떨어져 있다. 대적성大賊星은 정남正南에서 출현하니 남방의 분야이고, 별이 지면과 6장정도 떨어져서 크고 붉으며 자주 요동하고 빛이 있다. 사위성司危星은 정서正西에서 출현하니, 서방의 분야인데, 별이 지면에서 6장정도 떨어져서 크고 흰 것이 금성과 비슷하다. 옥한성獄漢星은 정북正北에서 출현하니, 북방의 분야이고, 별은 지면에서 6장정도 떨어져 크고 붉으며 자주 요동하고, 자세히 관찰하면 안이 푸르다. 이들은 사방 분야에서 출현하는 별인데, 그 방위가 아닌 곳에서 출현하면 그 아래에는 전쟁이 일어나고 그와 마주하는 곳이 이롭지 않다. 사전성四塡星은 네 모퉁이四隅에서 출현하는 것인데, 지면과 6장정도 떨어져 있다. 지유성地維星은 빛을 감추고 있고, 또한 네 모퉁이四隅에서 출현하는데, 지면에서 3장三丈정도 떨어져 있어서 달이 처음 나올 때와 같다. 이 별이 출현하는 곳은 그 아래에 변란이 있고, 어지럽히는 자는 망하고 덕이 있는 자는 창성한다. 촉성燭星은 모양이 금성과 비슷하고, 출현하여도 운행하지 않으며 보였다가는 곧 사라진다. 이 별이 비추는 곳은 나라가 어지럽다. 별 같은데 별이 아니고, 구름 같은데 구름이 아닌 것을 일러 귀사성歸邪星이라 한다. 귀사성이 출현하면 반드시 그 나라로 돌아오는 사람이 있다.
객성(客星)은 주기나 형체가 일정하지 않고 우연히 나타나는 등 규칙성을 찾기 어려운 천체이다. 이러한 천체를 하늘에 떠도는 나그네 혹은 손님별이란 뜻에서 ‘객성’이라 불렀다.
■ 星者, 金之散氣, 本曰火. 星衆, 國吉 ; 少, 則凶.
별은 금金의 산기散氣이니, 그 본질은 불이다. 별이 많으면 그 나라는 길하고, 별이 적으면 흉하다.
맹강(孟康)은 “별은 돌이다.”(集解 : 星, 石也)라고 했는데, 「정의(正義)」에서는 “문요(文曜)는 하늘에 붙어있는데, 움직이는 것이 일곱이니, 일월오성이 이것이다. 해는 양의 정령에서 근본이고, 달은 음의 정령에서 근본이고, 오성은 오행의 정령이다. 여러 별들이 나열되어 분포하는 것은 몸체가 땅에서 생긴 것이고 정령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張衡云 : 「文曜麗乎天, 其動者有七, 日月五星是也. 日者, 陽精之宗 ; 月者, 陰精之宗 ; 五星, 五行之精. 衆星列布, 體生於地, 精成於天.)라고 했다. 별(星)은 「설문(說文)」에서 “만물의 정령이 위로 올라가 열성이 된 것이다.”(萬物之精,上爲列星)라고 했고, 「석명(釋名)」에서는 “별은 흩어져 있으니, 나열된 자리에 흩어져서 퍼져 있다.”(星, 散也, 列位布散也)고 했다. 장횡(張衡)은 “나열되어 있으면서 뒤섞여 운행하는데, 각자가 속한 곳이 있다. 분야에 있어서는 물건을 본받고 조정에 있어서는 관명을 본받고, 사람에 있어서는 일을 본받는다.”(列居錯行, 各有所屬. 在野象物, 在朝象官, 在人象事)고 했다. 별은 금석金石의 굳은 정령이 흩어져 있는 것이고, 사람이 보는 별의 빛은 그 기운이다.
■ 漢者, 亦金之散氣, 其本曰水. 漢, 星多, 多水 ; 少, 則旱. 其大經也.
은하銀河도 또한 금金의 산기散氣인데, 그 본질은 물이다. 은하에 별이 많으면 비가 많이 오고, 별이 적으면 한발이 있다. 은하는 하늘을 크게 지나가는 것이다.
사마정(司馬貞)은 “물은 금에서 생기니, 산기(散氣)는 곧 수기(水氣)이다. 하도괄지상(河圖括地象)에서 ‘하수의 정령이 하늘의 은하수가 된다.’고 했다.”(水生於金, 散氣卽水氣. 河圖括地象曰河精爲天漢也.)라고 했다.
■ 天鼓, 有音如雷非雷, 音在地而下及地. 其所往者, 兵發其下.
천고성天鼓星은 우레 소리 같으면서도 우레가 아닌 음音을 내는데, 음이 땅에서 나는 것은 아래로 땅에 미친 것이다. 음은 가는 곳은 전쟁이 그 아래에서 일어난다.
■ 天狗, 狀如大奔星, 有聲, 其下止地, 類狗. 所墮, 及炎火, 望之如火光炎炎衝天. 其下圜, 如數頃田處, 上兌者, 則有黃色, 千里破軍殺將.
천구성天狗星은 모양이 큰 별똥별 같고 소리가 있는데, 아래로 내려와 땅에 그치는 것이 개와 비슷하다. 천구성이 떨어져서 닿은 곳은 불길이 활활 타오르니, 마치 화광이 타올라 하늘을 찌르는 것과 같아 보인다. 그 아래는 둘레가 몇 경頃이나 되는 밭과 같은데, 위가 뾰족한 것은 황색을 가지고 있는데, 천리 밖의 군대가 패하고 장수는 죽는다.
「집해(集解)」 : 별이 꼬리가 있는 것이 옆에서 보면 짧은 빗자루 모양인데, 아래로 내려와서는 개의 형체와 같고, 또한 태백의 정령이다.(孟康曰 : 星有尾, 旁有短慧, 下有如狗形者, 亦太白之精.)
■ 格澤星者, 如炎火之狀. 黃白, 起地面上. 下大, 上兌. 其見也, 不種而獲 ; 不有土功, 必有大害.
학택성格澤星은 타오르는 불꽃의 형상으로 황백색이며, 지면 위로 솟아나오는데, 아래는 크고 위는 뾰족하다. 이 별이 출현하면 씨를 뿌리지 않고도 수확할 수 있고, 토목공사가 있지 않으면 반드시 큰 재해가 있다.
格의 음은 胡客反이니, 학이다.
■ 蚩尤之旗, 類彗, 而後曲, 象旗. 見則王者征伐四方.
치우의 기蚩尤之旗는 빗자루 같은데 뒷부분이 구불구불해 깃발과 비슷하다. 이 별이 보이면 왕이 사방을 정벌한다.
이는 형혹의 정령으로 위는 황색이고 아래는 백색이다.(集解孟康曰 : 熒惑之精也. 晉灼曰, 呂氏春秋曰其色黃上白下) 대개 혜성은 빗자루 모양이니, 혜성이 나타나면 옛 것을 쓸어 없애고 새 것을 펴는 것이다.(集解張晏曰:彗, 所以除舊布新.)
■ 旬始, 出於北斗旁, 狀如雄雞. 其怒, 靑黑, 象伏鼈.
순시성旬始星은 북두좌 옆에 나타나는데 모양이 수탉과 같다. 별이 빛줄기를 내면 청흑색인데, 엎드린 자라의 형상이다.
노(怒)는 광망이 뾰족하게 나오는 것이다.(芒角刺出) 노(怒)는 오행으로 목(木)이 되기 때문에 청색이 된다. 본초주(本草註)에 “자라는 발이 없으면 머리와 꼬리가 오그라들지 않는데, 이를 납별이라 한다.”(鼈無足而頭尾不縮者,名曰納鼈)고 했다.
■ 枉矢, 類大流星, 虵行而倉黑, 望之如有毛羽然.
왕시성枉矢星은 큰 유성과 비슷한데, 구불거리며 운행하며 청흑색인 것이 마치 날개가 달린 것처럼 보인다.
「설원(說苑)」에 “일종의 요성으로 수성의 운행에서 영축을 따라 생긴 것”(枉矢這種妖星, 是由于辰星運行的盈縮所産生)이라 했고, 「홍범오행전(洪范五行傳)」에는 “활과 쇠뇌의 자취와 같은 모양으로 왕시성이 가리키고 행하는 곳은 천하가 반드시 모여서 결정하여 토벌하니, 멸망하는 자취의 상이다.”(枉矢者, 弓弩的迹象. 枉矢的指向, 天下必定會有所討伐, 那是滅亡的迹象)라고 했다.
■ 長庚, 如一匹布, 著天. 此星見, 兵起.
장경성長庚星은 한 필의 베布가 하늘에 걸려 있는 것 같다. 이 별이 나타나면 전쟁이 일어난다.
장경성은 대체로 서쪽에 출현하는 금성의 명칭이기도 하므로 태백성의 정기로 나타나는 혜성이다. 한 필의 베(布)는 깃발과 같으니, 태백성이 전쟁을 지휘함과 같다.
■ 星墜至地, 則石也. 河, 濟之間, 時有墜星. 天精而見景星. 景星者, 德星也. 其狀無常, 常出於有道之國.
별이 땅에 떨어진 것은 돌이다. 하수河水와 제수齊水 사이에는 가끔 별이 떨어진다. 날씨가 맑으면 경성景星이 나타난다. 경성은 덕성德星이다. 그 모양은 일정하지 않으며 도가 있는 나라에 항시 나타난다.
본 게시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무단도용 및 타사이트의 임의게재를 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